SC FE01
-
CSR & SSR (react / next.js)알아보기SC FE01 2023. 12. 19. 17:31
어느 Side에서 렌더링을 준비하느냐에 따라 나뉘는 개념으로 CSR(Client Side Rendering) 클라이언트 측에서 렌더링 하는 방식 SSR(Server Side Rendering) 서버 측에서 렌더링 하는 방식이다. 1. SPA와 MPA의 차이점부터 짚어보기 CSR과 SSR 개념에 다루기 전에, SPA와 MPA에 대해 짚어보자. 오늘날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고 하면 대부분 React, Angular, Vue와 같은 자바스크립트 기반 프레임워크를 사용해 SPA를 개발한다. ▫︎ MPA(Multi Page Application) 탭을 이동할 때마다 서버로부터 새로운 HTML을 새로 받아와서 페이지 전체를 렌더링 하는 전통적인 웹 페이지 구성 방식 ▫︎ SPA(Single Page Applic..
-
23.12.14_API문서, 개발방법론 알아보기SC FE01 2023. 12. 13. 17:35
API문서 API문서란? 개발자와 사용자가 원활하게 API를 파악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문서이며 API 문서는 API의 기능을 분명하게 명시하고, 사용 방법과 관련 오류를 살펴볼 수 있게 해야한다. 왜 필요하고, 알아야하는가 일부 개발자들은 API 문서의 중요성을 간과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문서가 없다면 다른 사람들이 코드를 이해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릴 것입니다. 개발자의 업무가 많은 경우에는 기술 문서를 작성하는 테크니컬 라이터가 이를 전문적으로 담당하기도 합니다. 오늘날 API 문서는 상품과 서비스의 일부로 간주되며 사용자 경험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침 쓰는 방법 1. 개발을 시작하기 전에 문서를 작성하기 개발을 하지 않았는데 어떻게 문서를 작성할 수 있을까 싶지만 해당 API가 어떤 기능을 할..
-
23.12.12 CS_렌더링SC FE01 2023. 12. 12. 17:27
우리가 인식하지 못할 뿐 웹페이지는 미리 만들어진 것을 가져오는 게 아니라 실시간으로 그려지는 것에 가깝습니다. 실시간으로 웹사이트가 그려지는 과정을 웹 브라우저의 '렌더링 과정'이라고 말합니다. 대부분의 인터넷 웹 브라우저들을 분해해보면 그 안에는 아래와 같이 두 개의 엔진이 들어가 있습니다. 1. 렌더링 엔진 : 사용자가 볼 화면을 그려내는 역할 2. 자바스크립트 엔진 :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읽어내 기능을 작동시키는 역할 웹 브라우저가 웹페이지를 여는 과정은 마치 압축파일을 열어 실행하는 과정과 비슷합니다. 압축된 파일을 해제하면 그림과 영상 게임이나 영화 파일을 실행할 수 있듯이 웹페이지도 텍스트・이미지 리소스 파일로 이뤄진 자료들을 완성된 웹페이지 화면에 그려줍니다. 그리고 이 과정을 돕는 것이 ..
-
아키텍쳐와 칸반 알아보기SC FE01 2023. 12. 7. 14:46
아키텍쳐 ‘Architecture’ ⌜ 아키텍쳐(Architecture)란? ⌟ 영단어로는 ‘건축학’ 이라는 뜻으로 '하나의 서비스가 어떻게 구성되며 어떻게 동작이 된다'를 표현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시스템의 구조, 동작 등을 정의하는 개념적인 모형으로 시스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스템의 각 컴포넌트가 무엇이며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지, 정보가 어떻게 교환되는 지를 설명한다. ∙시스템 구성 및 동작 원리를 나타내는 것 ∙구성 요소 간의 관계 및 시스템 외부 환경과의 관계를 묘사하는 것 ∙시스템 구성 요소에 대한 설계 및 구현을 지원하는 수준을 기술하는 것 ∙요구 사양 및 시스템 수명 주기를 고려하는 것 ∙시스템의 전체적인 최적화를 목표로 하는 것 ⌜ 소프트웨어 아키텍처가 중요한 이유 ⌟ 위의 소프..
-
코드리뷰와 GIT FLOW 알아보기SC FE01 2023. 11. 30. 12:30
코드리뷰란? 작성된 코드를 다른 개발자들과 함께 검토하여 또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고, 오류의 발생 가능성을 찾아내거나 더 나은 코드를 만들어 내는것이며 프로젝트의 코드 스타일을 유지하거나, 예상 문제점을 파악하는 것 뿐 아니라 코드에 대한 책임이 개인이 아닌 우리 모두에게 있다는 문화를 만들어낼 수 있다. 왜 필요한가? 소프트웨어의 품질향상⌋ 누락되거나 유지보수 및 확장성을 고려하지 못한 부분 등을 타 개발자들과의 공유를 통해 개선할수 있다. 개발 생산성 향상⌋ 함께 코드를 공유하는 과정에서 프로젝트의 전체적인 구조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고, 코드에대한피드백을 통해 개선해 나가면서 개발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개발규정 준수 향상⌋ 코드리뷰를 통해 규정 준수를 한번더 확인하고,..